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10164 격자상의 경로
    백준/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2022. 5. 22. 20:15

     

     

    1. 풀이

     

     

    문제에 주어진 예시를 가지고 설명하겠다.

     

    3 5 8

     

    이러한 값이 주어졌기 때문에 격자는

     

    이와 같다.

    map[i][j] 배열에 위와 같이 입력한다.

     

    dp[i][j] 배열은

    처음 위치(0,0) 에서 ((i,j) 위치까지 이동하는 서로 다른 경로의 수를 입력할 것이다.

     

    그러면 8의 위치를 변수 a,b 에 저장한다.

    즉, 8의 위치는 (1,2) 이다.

    a = 1, b = 2

     

    1) 

     

    dp[0][1] ~ dp[0][b] = 1  

     

    => dp[0][1] = 1 인건,

    (0,0) 에서 출발해서 (0,1) 까지 이동가능한 방법은

   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1가지 있다.

     

    => dp[0][2] = 1 인건,

    (0,0) 에서 출발해서 (0,2) 까지 이동가능한 방법이

   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1가지 있기 때문이다.

     

    dp[1][0] ~ dp[a][0] = 1

     

    => 이 경우도 (0,0) 에서 출발해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1가지 있다.

     

    2) 

     

    dp[1][1] ~ dp[a][b] 까지

     

    dp[i][j] = dp[i-1][j] + dp[i][j-1]

     

    이 식을 통해서 값을 채운다.

     

    예를 들어서 dp[1][1] = dp[0][1] + dp[1][0] 이다.

     

    즉,

    (0,0) 에서 (1,1) 로 가는 경로의 수

    = (0,0)에서 (0,1) 로 가는 경로의 수 + (0,0)에서 (1,0) 로 가는 경로의 수이다.

    3) 

     

    dp[a][b+1] ~ dp[a][M-1] = 3

     

    dp[a+1][b] ~ dp[N-1][b] = 3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(a,b) 위치에서 (N-1, M-1) 위치까지 서로 다른 경로의 수를 찾아야 한다.

     

     

    이때 위에서 

    dp[i][j] = dp[i-1][j] + dp[i][j-1] 이라고 했다.

    즉, 

     

     

    (0,0)에서 (1,3) 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수 => 9까지 이동

    = (0,0)에서 (1,2) 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수 => 8까지 이동

    + (0,0)에서 (0,3)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수  -> 4까지 이동

     

    그런데, 8을 반드시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, 4로 이동하는 경로의 수는 없다.

    그래서, 9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수는 8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수와 같다.

     

     

    4) 

     

    dp[a+1][b+1] ~ dp[N-1][M-1] 은

     

    dp[i][j] = dp[i-1][j] + dp[i][j-1] 

     

    식으로 채우면 된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)

     

    정답은

    dp[N-1][M-1] 이 된다.

     

     

    2. 최종 코드

   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    import java.io.IOException;
   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   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    
    
    public class Main {
    	
    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		
    		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		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 " " );
    		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		int 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		int K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		
    		int map[][] = new int[N][M];
    		
    		int a = 0;
    		int b = 0;
    		
    		if(K==0) {
    			a = N-1;
    			b = M-1;
    		}
    		
    		int dp[][] = new int[N][M];
    		
    		int number = 1;
    		
    		for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		
    			for(int j = 0; j < M; j++) {
    			
    				map[i][j] = number;
    				
    				if(map[i][j] == K) {
    					a = i;
    					b = j;
    				}
    				
    				number++;
    			}
    		}
    		
    		
    		for(int i = 1; i <= b; i++) {
    		
    			dp[0][i] = 1;
    		}
    		
    		for(int i = 1; i <= a; i++) {
    			
    			dp[i][0] = 1;
    		}
    		
    
    		for(int i = 1; i <= a; i++) {
    			
    			for(int j = 1; j <= b; j++) {
    			
    				dp[i][j] = dp[i-1][j] + dp[i][j-1];
    			
    			}
    		}
    		
    		
    		for(int i = b; i < M; i++) {
    			
    			dp[a][i] = dp[a][b];
    		}
    		
    		for(int i = a; i < N; i++) {
    			
    			dp[i][b] = dp[a][b];
    		}
    		
    
    		for(int i = a; i < N; i++) {
    		
    			for(int j = b; j < M; j++) {
    				
    				if(i-1 >= 0 && j-1 >= 0) {
    			
    					dp[i][j] = dp[i-1][j] + dp[i][j-1];
    			}
    	      }
    		}
    	
    		
    		System.out.println(dp[N-1][M-1]);
         }
      }

    '백준 > 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1788 피보나치 수의 확장  (0) 2024.07.09
    1915 가장 큰 정사각형  (0) 2024.06.26
    11060 점프 점프  (0) 2022.05.22
    11048 이동하기  (0) 2022.05.17
  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11053  (0) 2022.02.08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